K-TV/Movie28 믿고보는 김지운과 최근작이 대표작인 송강호의 결과 [밀정] 요즘 영화관 가는 기준이 일제강점기가 되어가고 있다. [암살]을 영화관에서 보지않아 후회했는데 김지운-송강호 믿고봤는데 내 판단은 옳았다. 필연적으로 처음 독립군 소재로 흥한 [암살] 얘기를 안할 수 없는데 [암살]은 독립열사의 멋지고 긴박감 넘치는 흥미진진함에 초점을 맞춘 오락적 성격이 강하다면, [밀정]은 속고속이는 배신과 인간적 고뇌를 담았다. 거기에 독립투사라면 죽음이나 형무소행이란 현실, 김지운이 잘하는 미장센도 합쳐졌다. 기차씬에서 총격전은 [놈놈놈]의 감독임을 재확인 시켜줬는데 [밀정]은 일제강점기란 시대 배경에 더 의미있는 작품. 장면전환이 정말 죽여줬다. 그리고 큰관에서 봐서 그런가 여태껏 영화보면서 ost도 아니고 사운드가 좋다거나 음향에 귀기울여본 적 없는데 영화가 의도적으로 묵음처리.. 2016. 9. 8. 멜로지존을 뛰어넘은 손예진의 증명 [덕혜옹주] 좋아하는 손예진과 박해일 믿고 봤는데 연기력을 진하게 우려냈다. 박해일의 안정된 톤과 목소리가 나레이션이 몰입하기 편했고 그의 반듯한 이미지에 어울리는 배역이었다. 게다가 [은교]때 영화관에서 관람해 뜨악해마지 않았던 반면 이번 노역 연기는 훨씬더 자연스러웠고 과장되지 않았으며 노련했다. 손예진 멜로하던 감정연기하던 가락이 있어서 그런지 인물에 집중하다보니 연애감정뿐 아니라 복합감정을 탁월하게 그린다. 복순이랑 헤어질때 빨간눈으로 울고 입국심사에서 보여줬던 감정의 스펙트럼이란 감히 그녀를 30대배우 원톱으로 칭해도 손색이 없을 거 같다. 노역연기는 배우로서 예쁘고싶은 욕구에 반하는 시도임에도 꽤 잘소화해냈다. 일단 분장이 늙었다고 큰 주름 붙이는거보다 검버섯이랑 잔주름 세세한게 훨씬 현실적이었고 노인이 .. 2016. 9. 1. 정체불명 은어 '개싸라기 흥행' 유래 요즘 영화업계 은어를 거르지 않고 기사에 무분별하게 싣고 있다. 그러나 국어사전에도 누구나 작성가능한 오픈국어사전에도 심지어 아무나 막써대는 위키따위에도 등재되지 않은 말이다. 어감이 싸라기(부스러진 쌀알)를 연상케해 막연히 우리말 어원인줄 알았더니 뜻밖에 일본어였다. 구글링을 통해 확인가능한 가장 오래된 기사는 2001년 경향일보에서, 지금의 '개싸라기'가 아닌 '개싸가리'로 일컬으며 일본어 유래라고 소개하고 있다. 근데 기사내용중 けっさがり는 '개싸가리' 발음 그대로 일본어로 쓴것일뿐 일본어 사전엔 없는 말이다. 다만 기사에서 언급한 '끝에서 올라가다'라는 의미에 있는말은 있다. 바로 시리아가리(尻上がり・しりあがり). 일본어는 한자를 읽는법이 훈독과 음독으로 나뉜다. 음독은 한자음을 읽는거고 훈독은 .. 2016. 8. 9. 공들여서 더 아름다운 작품 [아가씨] #일본어 연기 지금까지 일제강점기 배경으로 나온 영화중 가장 일본어가 탁월하다. 그전까진 [동주]였는데 차이점은 일본인역에 일본 거주경험이 있는 배우와 재일교포를 기용했고 주연배우의 일본어는 다소 미숙. 아가씨는 주연배우들의 일본어대사가 어마어마하게 나오는데 실력이 다들 상향평준화됐다. 첫장면에 김태리 일본어 나오자마자 발음이좋아 깜짝 놀랐다. 문소리>김해숙,김민희>>김태리>>>>조진웅>>>>>>>>하정우순이다. 하정우는 암살에 비하면 정말많이 늘은건데... 음.. 천상 한국인. 암살때는 하정우 말고도 일본인역 발음이 시원찮아서 좀 그랬다. 근데 영화에서 전체적인 연기 톤이 있는데 어쩜 일본어를 하는데 그 톤을 그대로 살려서 하는거지. 개인적으로 일본어 발음할때랑 한국어할때랑 다른데 극중에서 한-일 어느.. 2016. 6. 11. 이전 1 2 3 4 5 6 7 다음